AI의 혁신과 관세사의 미래 _ 3. 프롬프트의 능률적인 작성기법
AI로부터 좋은 답변을 얻기 위해서는 효율적이고 능률적인 질문을 해야 합니다.
질문에 따라 답변의 차이가 많이 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.
오늘 설명이 AI를 활용하는데 가장 중요한 포인트라고 볼 수 있습니다
프롬프트를 정의 해보고 다양한 질문요령을 검토하여 보겠습니다.
ChatGPT에게 “프롬프트를 정의하고 효율적이고 능률적인 작성기법을 조사하여 알려줘” 이렇게 질문하였습니다.
ChatGPT의 말:
프롬프트(Prompt)는 인공지능(AI), 특히 언어 모델을 사용할 때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 입력하는 지시문이나 질문을 의미합니다.
효율적이고 능률적인 프롬프트를 작성하려면 단순한 질문보다는 명확하고 구체적인 요청 방식이 중요합니다.
아래의 프롬프트의 정의, 작성기법, 그리고 효율적인 활용 전략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.
✅ 1. 프롬프트(Prompt)의 정의
프롬프트란?
사용자가 AI에게 특정 작업을 지시하거나 질문할 때 사용하는 입력 문장 또는 문맥 정보입니다.
프롬프트의 예:
"HS코드 8471.30.0000에 해당하는 수입관세율과 수입규제사항을 최신기준으로 조사해줘."
"‘수출입통관 실무 교육안’을 초보자용으로 3시간 분량으로 작성해줘."
✅ 2. 효율적이고 능률적인 프롬프트 작성 기법
[1] 목적을 명확히 하기
목표가 뚜렷할수록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.
비효율적:
"수출입에 대해 알려줘."
효율적:
"화장품을 미국으로 수출할 때 적용되는 HS코드와 미국의 수입 규제사항을 조사해줘."
[2] 역할(role) 부여하기
AI에게 특정 역할을 부여하면, 그에 맞는 방식으로 응답합니다.
예시:
"너는 관세전문가야. HS코드 8544.42에 대한 관세율과 수입규제를 알려줘."
[3] 형식, 분량, 언어를 명시하기
원하는 출력 형식을 지정하면 효율적입니다.
예시:
"표 형식으로 작성해줘."
"3줄 요약으로 알려줘."
"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설명해줘."
[4] 단계별 지시
복잡한 작업은 단계별로 나누어 요청하면 좋습니다.
예시:
1단계: "FTA 원산지 판정 기준에 대해 요약해줘."
2단계: "이 기준을 한국-베트남 FTA에 적용한 사례를 알려줘.“
결과가 부족하면 "다시 작성해줘", "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줘"라고 이어서 요청 가능
[5] 예시 또는 문맥 포함
이전 대화나 문서를 함께 제공하면 응답 품질이 높아집니다.
예시:
"아래의 교육안 초안을 참고해서 전문가 수준으로 다듬어줘."
[6] 조건 제시
프롬프트 작성시 조건을 포함하여 작성하는 게 좋습니다. 그래야 결과를 좁히고 원치않는 결과를 제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
[7] 간결하게 작성
처음에 원하는 것을 작성하고, 그에 따른 조건은 줄을 바꿔가며 입력하는 것이 좋은데요. 한 문장에 여러 개의 조건을 길게 붙이면 AI의 혼동을 불러 일으킬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.
[8] 번역 전문 용어 유의
복잡한 용어나 영어를 번역한 전문 용어는 피해야 오류가 줄어듭니다
전문 용어를 사용해야 한다면 영어 단어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한국어 뒤에 괄호를 영어 병기 표시를 하는 게 좋습니다.
✅ 3. 프롬프트 작성 예시 모음
목적 | 프롬프트 예시 |
HS코드와 관세율 조사 | "HS코드 8708.99.0000의 한국 수입관세율과 규제사항을 알려줘." |
수출입 규제 파악 | "의료기기를 일본으로 수출할 때의 일본 내 수입규제 사항을 조사해줘." |
FTA 활용 분석 | "한국-유럽연합 FTA에서 자동차 부품의 원산지 기준을 설명해줘." |
교육안 작성 | "무역실무 기초 교육안을 2시간 분량으로 작성해줘. 대상은 대학생." |
무역 마케팅 전략 | "화장품을 동남아시아에 수출하려는 스타트업의 마케팅 전략을 3단계로 제시해줘." |
본 자료는 AI에게 질문도 하고 별도 교육받은 사항 등을 발췌하여 작성하였습니다. AI 활용에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.
(작성자: 유신관세법인 송정현 관세사)